General & information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면책금 장단점 가입방법

Love_the_Life 2022. 9. 4. 19:57

자동차보험을 가입하실 때 자기부담금 (자차면책금)이라는 항목이 있는데요. 많은 분들에게 생소하여 어려울 수 있는 보험 용어인데요. 따라서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면책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가입방법 및 장단점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 이란?

 

자동차보험을 가입하면 사고 시 나에게 과실이 있을 때 상대방의 차를 복구하는 비용을 보험사에서 지불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자동차 보험 가입 시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그렇다면 사고 시 나의 차에 대한 비용을 책임져주는 보험 항목을 무엇일까요? 바로 '자차보험'입니다. 이를 가입하게 되면 보험료는 오르게 되지만 보험사에서 내 차 수리비용까지 지불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자차보험에 가입하였다고 해서 100% 내 차 수리비용을 보험사에서 내주지는 않습니다. 만약 이렇게 된다면 이를 악용할 여지가 있고 보험사의 손해가 많아 보험사에서는 내 차 수리비용 중에서 일부분은 차주가 부담을 하게끔 만든 제도가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입니다. 

 

추가적으로 용어를 더 설명드리자면, 자기부담금 과 자차 면책금은 같은 뜻인데요. 즉 보험사 입장에서는 수리비용 중 책임지지 않은 금액이므로 면책금이 되는 것이고, 운전자 입장에서는 사고시 수리 비용 중 일부 내가 지불해야하는 비용을 뜻하므로 자기부담금이라고 부릅니다. 

 

 

 

 

2.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 설정 비율은?

 

자동차보험 가입 시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 설정 비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는 20% 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30% 까지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하기는 물적사고 할증금액 기준 자기부담금 설정 비율 20% 에 따른 최저자기부담금액표입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자기부담금 20% 설정 시

물적사고할증금액 50만원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최저자기부담금 5만원 10만원 15만원 20만원

 

여기서 물적사고 할증금액이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생소한 용어이기 때문이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가입한 물적사고할증금액 비용 기준에서 사고 시 내차 수리비용이 할증금액 기준을 넘는 경우 보험료의 추가 할증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물적사고 할증금액을 200만 원으로 가입했다고 가정했을 때, 자동차 수리 비용이 200만 원이 넘지 않은 경우는 할증이 붙지 않으나 만약 수리비용이 200만 원을 추가하는 경우 나의 보험료에 할증이 붙는 것입니다. 

 

따라서 차주의 입장에서는 물적 할증금액이 높을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200만 원으로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같이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내가 가입한 자동차 보험 내역 확인하는 방법

 

 

 

 

캐롯 퍼마일 자동차보험 장점 단점 이용후기

 

 

 

캐롯 퍼마일 자동차보험 장점 단점 이용후기

요즘에는 사람들은 차를 주말에만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요즘같이 경유나 휘발유 가격이 치솟는 경우에는 자동차 보험료라도 아껴야 할 것 같은데요. 따라서 후불제로 보험료

love-the-life.tistory.com

 

 

자동차보험 운전자보험 특약 법률비용

 

 

 

자동차보험 운전자보험 특약 법률비용

오늘은 자동차보험의 특약에 대하여 알아 보려고 합니다. 특히 자동차보험 대표 특약 중 하나인 '법률비용 특약'과 운전자보험의 차이를 잘 아시나요?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이라 이번

love-the-life.tistory.com

 

 

원데이자동차보험 가입방법 및 임시운전자특약과 차이점

 

 

 

원데이자동차보험 가입방법 및 임시운전자특약과 차이점

우리가 살다 보면 다른 사람 소유의 차를 운전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바로 이런 경우 우리는 자동차 일일 보험을 가입해야 되며 종류는 2가지로 나누어집니다. 바로 원데이자동차보험과

love-the-life.tistory.com

 

 

자동차보험 마일리지 특약 변경 내용 신청 방법

 

 

 


3.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 필요없는 경우

 

우선 일반적으로는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을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하기와 같은 경우는 꼭 가입하지 않아도 되니 참고 바랍니다. 

 

- 운전에 자신이 있어 사고 자기 과실로 사고 날 위험 확률이 낮은 사람

- 슈퍼카를 타고 있어 보험사 자체에서 자차보험 적용이 안 되는 경우

- 차량이 오래되어 사고 시는 폐차할 정도의 컨디션의 경우

 

4. 자동차보험 자차보험 (자기차량손해 보험) 가입 시 꿀팁

 

- 물적할증금액 기준은 200만원 으로 설정

 

: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물적할증금액 기준은 200만 원으로 높게 설정하여 두는 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만약 50만 원으로 설정하셨을 경우 당장의 보험료를 아낄 수 있지만 만약 사고가 났을 경우 차량 수리비용이 50만 원이 넘어가는 경우 바로 보험료 할증이 붙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사고가 났을 때 보통의 수리비용은 거의 50만 원을 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넉넉하게 최대한도인 200만 원으로 설정해두는 것이 혹시라도 발생할 경미한 사고로 인해 보험료가 할증되는 일을 막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차량가액 전체 담보 가입

 

: 자기 차량손해 담보 가입 시, 일부 담보 가입이 아닌 차량가액 전부를 담보로 설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막상 보험료에 많은 차이가 나지 않을뿐더러 추후 사고가 났을 때는 대비하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사고가 났을때 차량가액의 일부 (80%)를 담보 가입한 경우는 보상이 전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량가액의 100% 담보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금까지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자차 면책금)에 대한 정의, 장단점, 가입 방법 및 그 외 자차보험 가입 시 유의해야 할 점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자동차보험 가입할 때는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사실 막상 살펴보면 쉬운 개념들이지만 줄임말로 많이들 이야기하기 때문에 자동차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더 어렵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본 글 잘 숙지하시면 앞으로 자동차보험을 가입하실 때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고 합리적으로 가입을 하여 보험료도 절약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