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보험료 할인 할증 제도에 대하여 알고 계시나요? 본 제도는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횟수 나 정도가 보험 갱신 시 보험료에 반영되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인데요. 오늘은 할인 할증 기준 계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자동차 보험료 할인 할증 왜 생겼을까?
자동차 할인 할증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사고 유무나 피해 정도에 따라서 보험 갱신 시 보험료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제도입니다. 이런 제도는 왜 생겼을까요?
바로 자동차 운행에 대한 위험도가 다른 경우 보험료를 차등화하여서 보험 가입자 간의 형평성을 유지하는 목적과 사고 시 할증을 하거나 무사고시 보험료 할인을 해주어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사고를 미리 예방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습니다.
2. 자동차 보험료 산출 기준 및 계산 방법
보통 자동차 보험료는 하기의 공식으로 산출됩니다. (보험사에 따라서 조금씩 상이할 수 있습니다.)
납입할 보험료 : 기본보험료 x 특약요율 x 가입자특성요율 x 특별요율 x 우량할인/불량할증요율 x 사고건수 별 특성요율
- 기본 보험료 (고정 금액) : 차량의 종류, 용도, 연령 등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기본적인 보험료
- 특약요율 (고정요율) : 운전자의 연령을 제한하는 특약으로 이는 가족이 운전자로 등록되는 경우 운전자의 연령을 한정하는 특약으로 가입 시 본 특약 가입시 적용되는 요율
본 특약은 20대가 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보험료를 할인받기 위한 방법으로 부모님 명의의 보험 밑으로 들어갈 때 사용되는 특약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글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20대 자동차 보험료 절약, 부모님 밑으로 들어가는 방법
- 가입자특성요율 : 운전자의 보험가입기간 및 법규위반 경력에 따라서 적용되는 요율입니다. 보험가입기간별 평균 요율은 하기와 같습니다. 이도 보험사에 따라 조금씩 상이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보험 가입 년수 | 보험 가입 경력 요율 |
~1년 미만 | 146% |
1년이상 ~ 2년미만 | 113% |
2년이상 ~ 3년미만 | 100% |
그리고 금감원에서 정하는 법규위반경력에 따른 할증률은 하기의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금융감독원 보도 자료)
구분 | 할증률 | 교통법규 위반내용 (도로교통법) |
할증대상 | 30% | 무면허운전 / 사고발생 시 조치의무 위반 / 주취운전금지위반 2회이상 |
20% | 주취운전금지위반 1회이상 / 신호위반, 중앙선침범, 속도제한율 4회이상 위반 /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 20km/h 초과 속도위반 2회 이상 | |
15% |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 20km/h 초과 속도위반 1회 | |
기본적용 | 10% | 벌점이 있는 위반내용 (신호위반, 중앙성침범, 속도위반 1회, 버스전용차로 위반, 안전거리 미확보, 차로통행구분 위반 등) |
할인대상 | 할증대상 및 기본적용 대상자 이외 |
- 특별요율(고정요율) : 자동차의 구조나 운영실태가 같은 종류의 차량과 다른 경우 부과되는 요율
- 우량할인, 불량할증요율 : 사고 발생 유무 및 실적에 따라 적용되는 요율로 본 내용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사고건수별 특성요율: 직전 3년간에 사고 유무 및 사고 건수에 따라 적용되는 요율
☆ 당신의 보험료 할인에 도움이 되는 글 ☆
자동차보험 운전자보험 차이점 / 운전자 보험 들어야 할까?
자동차보험 마일리지 특약 신청으로 보험료 환급받는 방법
자동차보험 자기부담금 및 자차보험 가입 시 보험료 할증을 막는 꿀팁
3. 자동차 보험료 할인할증등급 이란?
보험사는 앞서 말씀드린 자동차 보험료 산출 공식을 이용하여 보험료를 산정합니다. 그렇다면 보험료 할인 할증 계산 시 사용되는 할인할증등급요율(우량할인, 불량할증요율)에 대한 자세한 계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할인할증등급은 29개로 나뉘어 있으며 1Z ~ 29Z의 형태로 표현됩니다. 참고로 숫자 옆의 Z의 의미는 Zero (0)을 뜻하는 것으로 11.0, 12.0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할인할증등급은 하기의 기준으로 산정이 됩니다.
- 자동차 보험에 최초 가입한 사람은 11Z부터 시작합니다.
- 지난 1년 동안 무사고 : 보험료 갱신 시 점수가 1점 상승합니다. (11Z -> 12Z)
- 지난 1년 동안 사고가 발생한 경우 : 보험료 갱신시 해당 사고의 점수만큼 점수가 하락하며 (11Z->10Z), 이후 3년 동안 점수 상승이 불가합니다.
사고 시의 할증 금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 포스팅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자동차 보험료 할인할증등급 요율 이란?
앞서 말씀드린 할인할증등급에 따라 부여되는 요율로 해당 %를 곱하여 할인할증금액이 계산되게 됩니다. 단 하기 할인할증등급요율은 보험사마다 상이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할인할증금액 : 할인할증등급 * 할인할증등급 요율
<할인할증등급 요율>
할인할증등급 | %요율 (*개인용차량) |
1Z | 187.5 |
2Z | 158.5 |
3Z | 139 |
11Z (기준) | 78 |
12Z | 70 |
13Z | 65.5 |
27Z | 36 |
28Z | 33.5 |
29Z | 33 |
5. 자동차 보험료 할인할증금액 계산 방법
앞서 말씀드린 등급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할인할증등급이 높을수록 보험료는 저렴해지고, 등급이 낮을수록 보험료는 비싸지는 것입니다. 우선 쉬운 이해를 위하여 하기와 같이 예시를 들어 할인할증률을 계산하여 보겠습니다.
- A가 처음 차를 구매 이후 무사고로 1년이 지나 11Z -> 12Z도 등급이 한 단계 올라간 경우
: 계산식은 ( 78% / 70% -1 )로 해당 할인율은 약 - 11.4%가 됩니다.
- B는 현재 이전에 많은 사고로 인해 3Z 할인등급을 가지고 있으나 추가 사고로 인하여 보험료 갱신 시점에 2Z 등급이 된 경우
: 계산식은 ( 158.5% / 139% -1)로 해당 할증율은 약 + 13%가 됩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식을 기준으로 할인할증등급 및 요율 그리고 할인할증금액 계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보험사의 보험료 계산 방법은 상기에서 말씀드린 내용보다 더 복잡할 수도 있어 가입자가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현재 나의 등급과 갱신 시 할증 및 할인되는 원인에 대하여는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2021.01.14일부터는 나의 자동차 보험료 할증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 보험료 할인 할증 조회시스템' 관련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하기의 포스팅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될것 입니다.
상기 글을 통하여 나의 자동차 보험료가 어떤 기준으로 산출되는지 그리고 보험료가 할인 및 할증되는 기준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